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을 하는데 있어서 주로사용되어지는 지표인 EPS, PER, BPS, PBR 에 대해 포스팅을 할려고 합니다. 최대한 간단하게 이야기 할려고 하니, 아래 포스팅 내용을 천천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EPS(Earning Per Share) : 주당 순이익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발생주식 수(상장된주식 수) 로 나누어 주면 한 주당 얼마의 순이익이 발생됫는지 알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면 A라는 회사의 당기순이익이 1억원 일때 상장된 발생주식 총수가 1억주라면 1주당 순이익은 1만원이 됩니다. 따라서 어느 회사의 가치를 평가를 할 때, 주당 순이익이 클수록 돈을 잘버는 좋은 회사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주당순이익 즉 EPS가 높..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은 주식의 변동성이 갈수록 증가해서 위험성이 커진다며 두려워한다. 예를들어 2008년 금융위기때와 2020년 코로나사태로 인한 대형약세장을 경험한 분들은 주식은 변동성이 너무 커서 두려워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있는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그 변동성이 있어야만 주식시장에서 수익을 창출할수 있는 것입니다. 옷장에 현금을 10년동안 넣어두어서 그 금액이 변하는 않는 것과 같이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0 이라면 주식시장에서 수익을 거둘 방법은 없습니다. 따라서 그 변동율을 잘 이해하고 위험에 잘 대처하는 사람만이 주식시장에 승리자가 될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의 변동이 심한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변동성은 높아지기도 하고 낮아지기도 하는 것이 정상입니다 또한 높은 변동성이 ..
- 명목실효환율
- 금융종합소득세
- MMF형
- 완전균등배정
- 프로그램매매
- 콜매수
- MMW형
- 실질환율
- 환율
- 동적VI
- 서켓브레이커
- MSCI지수편입
- 실질실효환율
- 내부자매도
- 원자재종류
- 비례배정
- 동시호가시간
- 장후시간외종가
- 주식
- 차익거래매매
- 증거금
- 동시호가
- 원자재생산
- 균등배정
- 장시작전동시호가
- 부동산
- 비차익거래매매
- 정적VI
- 장마감동시호가
- 금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