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경제적자유를 함께 공유하고 이야기하고픈 이너피스입니다.
오늘은 주식 공모주를 보다 효율적이로 하는 방법에대해 포스팅을 해 보겠습니다.
일단 보통 사람들은 균등배정은 똑같이 분배하는 것, 비례배정은 돈많은 사람이 유리한 것, 이라고는
알고들 있지만 각 증권사마다 주식배정물량이나 경쟁률이 다르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1주라도 더 배정받기 위해서는
보다 세심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 그럼 균등배정, 완전균등배정, 비례배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어떻게 1주라도 더 받을 수 있도록 접근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균등배정>
균등배정은 청약신청한 신청자의 수에 따라서 균등하게 물량을 배정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어느증권사의 총 배정물량이 100주라고 하면, 보통 균등 50% / 비례 50% 로 물량이 배정됩니다.
그럼 균등배정 물량이 50주가 되고, 균등배정 신청자가 40명이면,
한 사람당 1.25주의 물량이 균등하게 배정이 됩니다. 한사람당 1주는 무조건 배정이 되고, 추첨을 통해서 25%의 확율로 1주를 더 받게 됩니다. 따라서 각 증권사를 확인해 봐서 배정물량이 많고, 경쟁률이 낮은 증권사에 청약을 하는 것이 보다 많은 수량의 주식을 배정받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완전균등배정>
총 100주의 배정물량 중에서 50주 균등배정시, 40명의 청약건수가 들어왔을 때, 한명당 1.25주를 받게 되는데,
완전균등방식은 2주를 배정해 주게 됩니다. 따라서 청약신청자수가 40명이므로, 총 80주가 균등배정으로 배정이 됩니다.
이때 부족한 30주를 비례배정 수량에서 가져오게 되므로 비례배정 물량은 20주로 줄어들게 됩니다.
한가지 예를 더 들어보면,
총 200주(균등100주, 비례100주)의 공모물량이 있을때,
신청자가 90명이면, 완전균등으로 180주가 배정이 되므로, 비례배정수량은 20주만 남게되고,
신청자가 101명이면, 완전균등으로 101주가 배정되므로, 비례배정수량은 99주가 남게 됩니다.
따라서 비례배정을 노릴때는 균등청약자수가 균등배정 수량보다 조금 적을 때 오히려 문제가 발생이 되므로,
상황을 잘 판단해서 청약을 해야할 것입니다.
<비례배정>
비례배정은 청약증거금이 많을 수록 더많이 배정되는 방식인데 결론은 돈많은 사람이 더 유리한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총 100주의 주식이 비례배정물량으로 나왔을 때,
A : 100주 신청
B : 900주 신청
하면 총 경쟁률은 10 대 1 이므로
A : 10주 배정
B : 90주 배정
이 되는 방식입니다.
즉, 돈을 더 많이 지불하는 사람이 주식을 더 많이 받게 됩니다.
한가지 예를 더 들어보면,
비례배정 물량 :9주 (1주에 만원)
총 8명의 신청자가
A : 100주(50만원)
B~H : 각 10주(각 5만원)
(보통 증거금의 50%만 지불하면 되기 때문에)
총 170주의 신청물량이 있으므로 170/9=18.88 의 경잴률이 됩니다.
따라서 A 는 100(주)/18.88=5.2주를 받게 되고,
B~H 는 10(주)/18.88=0.52주를 각각 받게 됩니다.
B~H 는 랜덤으로 0주 혹은 1주를 받게 됩니다.
또한 보통 비례배정은 소수점 첫째자리가 6 이상이어야 한주 더 받게 되므로,
본인의 자금사정에 맞게 청약하는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1000주 신청시 1.9주 배정,
2000주 신청시 2.5주 배정이 된다면 소수점 첫째 자리가 6 이상이어야 한주 더 배정받는 원칙에 따라 둘다 2주씩
배정이 되므로, 1000주 신청하는 것이 자금관리상 더 좋은 방법입니다.
이로서 균등배정, 비례배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한마디로 요약하면 비례배정은 돈많은 사람이 유리하고, 균등배정은 일정수량만 신청하면 균등하게 배정이 되는 방식입니다.
'주식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매도란 무엇이며, 주식대여서비스를 이용한 추가수익 발생시키기 (0) | 2021.12.28 |
---|---|
주식 내부자거래(매수, 매도) 활용 꿀팁(Feat. Naver금융, 전자공시) (0) | 2021.12.28 |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이용한 주식투자 팁 (0) | 2021.06.11 |
선물과 옵션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0) | 2021.06.10 |
자사주 매입,소각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5.24 |
- 명목실효환율
- 부동산
- 동시호가시간
- 동적VI
- 비차익거래매매
- 원자재생산
- 장후시간외종가
- 서켓브레이커
- MSCI지수편입
- 증거금
- 장시작전동시호가
- 완전균등배정
- 장마감동시호가
- 내부자매도
- MMW형
- 차익거래매매
- 실질실효환율
- 원자재종류
- 프로그램매매
- 환율
- 주식
- 균등배정
- 동시호가
- 금융종합소득세
- 정적VI
- 실질환율
- 비례배정
- MMF형
- 콜매수
- 금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