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igaFL/btqZIzu20i5/A6CIbrV4zRtxcwg7mmzO40/img.jpg)
지난 이틀에 거처 동시호가의 기본 개념과 동시호가가 매도가격과 매수가격이 일치하지 않을때 어떻게 동시호가 가격이 결정이 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지막으로 동시호가가 상한가일때 주문방법에 대해 말해볼려고 합니다. 동시호가가 상한가가 가는 이유는 가격우선의 법칙에서 밀리기 싫으니 아예 최고 높은 가격으로 동시호가 주문을 넣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예를들어 빅히트나 카카오게임즈 같은 신규상장 종목들이 그 예입니다. 그럼 동시호가가 상한가일때는 어떠한 다른점이 있는가 하면 바로 *정량 배분 법칙* 이 적용이 됩니다. 자본이 많은 사람이 동시호가가 상한가일때 모든 물량을 먹어버리는 것을 막기위해 도입한 제도입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동시호가가 상한가일때 각 단계별로 정량배분을 하게 됩니다. 긴말 ..
주식관련
2021. 3. 9. 19:4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TAG
- 실질실효환율
- MMF형
- 비차익거래매매
- 증거금
- 실질환율
- 금융종합소득세
- 부동산
- 원자재생산
- 장후시간외종가
- 서켓브레이커
- 내부자매도
- 금리
- 동시호가
- 완전균등배정
- 원자재종류
- 주식
- 동시호가시간
- 균등배정
- 환율
- 명목실효환율
- 프로그램매매
- MSCI지수편입
- 차익거래매매
- 비례배정
- MMW형
- 콜매수
- 장시작전동시호가
- 정적VI
- 장마감동시호가
- 동적VI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